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떠오른 ‘시식 전문점’

by keykiho 2024. 4. 18.
반응형

마트에서 장을 보다 보면 신상품이 눈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선뜻 구매하기에는 주저하게 된다.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와 기업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시식 전문점’이 급성장하고 있다.

 

 

메구다이(メグダイ, megdai)’는 일본 시식 전문점의 붐을 견인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메구다이의 점포 안은 과일, 치즈, 음료, 캐비어를 비롯해 다양한 식재료들로 가득 차 있다.

  • 언뜻 보면 아무런 콘셉트 없이 주인이 마음에 드는 식재료를 그냥 쌓아 둔 것처럼 보임.
  • 자세히 보면 가게 안에 놓인 제품들은 시중에 판매되지 않는 처음 보는 것 들
  • 제품마다 제품의 유래와 생산자의 스토리가 안내되어 있음
  • 시식을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자리에서 제품을 살 수는 없음 (소비자 당황함)
  • 제품들의 맛을 본 후 구매하고 싶으면 QR 코드를 통해 출품자 홈페이지에 접속해 상품 구입

 

 

이러한 체험에 기반을 둔 시식 전문점은 영세 하지만 신제품을 선보이고 싶었던 기업과

개인 사업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점포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시식 전문점이 잘 되는 이유 

상품을 출품한 기업, 생산 농가, 개인사업주 등으로부터 매달 출품비를 3만 3000엔에서

8만 8000엔 정도를 받아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즉 출품자들로부터 받은 출품 비용이 시식 전문점의 수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생산자들은 왜 굳이 매달 비싼 비용을 내고 시식 전문점에 출품하고 있는 것일까?

 

첫째로 시식 전문점이 상품들을 모으는 방법이 독특하다는 점

  • 시식 전문점은 출품자들의 제품을 선정할 때 직접 그 대상을 하나하나 찾아간다.
  • 식품 회사 목록 자료를 들고 발품을 파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 직접 부가가치가 있어 보이는 곳을 찾아가서 아이템을 발굴한다고 한다.
  • 대중적인 미각에서 ‘맛있다’라고 하는 기준에 맞춰서 제품을 선정

 

 둘째로 시식 전문점이 고객을 모으기 위한 장소의 선정이 뛰어나다는 점

  • 달리 흔히 역세권으로 불리는 역 근처가 아닌 역에서 떨어진 곳에 점포
  • 배고픔을 해소하는 공간이 아니며 우연히 지나가다가 잠시 들러 맛을 본다는 개념
  • 집에서 맛보고 싶다는 기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타이밍을 잡아내는 데 초점
  • 이것이 오히려 시식 전문점으로서는 점포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으니 일석이조인 것이다

 

셋째로 구매한 고객들의 반복 구매 비율이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실제로 시식 전문점에서 맛을 본 고객 중의 60%는 반복해서 시식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 고객들이 시식을 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그 제품에 대한 스토리를 이해
  • 제품의 가치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많은 기업들이 안고 있는 과제 중 하나가 “아무리 좋은 상품을 만들어도 팔리지 않는다”라는 것인데

  • 좋은 제품을 만들었다는 것은 기업의 생각이지
  • 고객에게는 그 생각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홍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그러한 니즈의
연결고리를 시식 전문점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감은 제품과 기업 그리고 시식 전문점에 대한 신뢰로 이어져 고객들이 다시 이곳을 찾게 하고 있다

 

반응형